홍보센터

NEWS

[조경] 여름밤을 밝히는 수국이 피면 -①

2025 .06 .10

화려한 봄꽃의 축제가 끝나고 여름으로 접어들면서 눈길을 사로잡는 꽃이 있다면 단연 수국이다. 

커다랗고 둥근 꽃은 풍성함으로도 무엇인가 꽉 채워지고 즐거움을 가져다준다. 

작고 앙증맞은 꽃들이 모여 이토록 복스럽고 탐스럽게 피는 꽃도 드물다. 


수국은 수국과 수국속에 속하는 갈잎떨기나무다. 좁은 의미로 쓰일 때는 ‘하이드란지아 마크로필라(Hydrangea macrophylla)’만을 가리키나 보통은 수국속에 속하는 모든 종을 가리키는 말이다.

요즘 인기 수종인 ‘엔드리스 서머(Endless Summer)’ 시리즈도 마크로필라(macrophy lla)종에 속한다.

 특히 엔드리스 서머 시리즈는 2004년 미국에서 태어난 신품종으로 겨울 추위에 강하고

 올해 새로 나온 가지에서도 꽃이 피고 개화기간이 길어 인기가 많다. 


5개 품종(진짜, 블러싱 브라이든, 트위스트 앤 샤우트, 블룸스트러크/블룸스타, 썸머크러시/썸머러브)이 있으며 

매력이 많은 이유는 전년도 가지에서는 늦은 봄에 꽃이 피고 당연지(새 가지)에서는 

여름부터 가을까지 꽃을 피워 정원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다.

수국과에는 9속 212종이 분포하고 있고 수국속에는 80종이 등록돼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1종(수국, 산수국, 나무수국, 떡갈잎수국, 미국수국, 중국수국, 등수국, 성널수국, 아스페라수국, 용수국, 라디아타수국)이 

등록돼 있다. 


수국속의 학명 하이드란지아(Hydrangea)는 물(Hydro)과 용기(aggeion)의 합성어로

 야생종 열매가 물병을 닮아 붙여진 이름이며 마크로필라 (Macrophylla)는 잎이 크다는 뜻이다.



◉ 수국의 특성


수국꽃은 초여름에서 무더운 여름 중순까지 약 2개월~3개월 꽃이 핀다. 

비교적 개화기간이 긴 편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볼거리와 즐거움을 준다. 

예전에는 주로 화분에 심었지만 요즘은 정원에 수국을 심고 가꾸는 곳이 많고 제주도를 비롯해 전국 각 지역에서 

여름 수국 축제를 열고 있다.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여름에는 습하고 겨울에는 추운 기후라 환경에 맞는 수국을 선택해야 한다. 

수국의 특성을 알아야만 꽃을 제대로 피울 수 있기 때문이다. 

수국의 종류에 따라 기후, 토양, 관리 수준이 다르지만 가장 신경 써야 할 부분은 가지자르기와 겨울 추위 보온 처리다. 

그 해 난 가지에서 꽃을 피우는 수국(당년지수국)인지, 전년도 가지에서 꽃눈이 맺는지, 

겨울 추위에 보온 처리를 해야 하는지 등 수종별로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맞게 관리해야 잎만 무성한 깻잎 수국이 되지 않는다.


◉ 수국 가지자르기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수국은 일반적으로 7월 말에서 8월 초에 하단 부분의 3마디 정도 남기도 가지치기를 

해주는 것이 좋으며 10월에 새로 나온 곁가지에서 꽃눈이 생기므로 자르지 않도록 한다. 

겨울철에는 뿌리가 얼지 않도록 보온재로 잘 덮어주며 휴면을 끝낸 수국은 5월에 개화한다.

수국은 환경에 따라 꽃의 색이 변하는 매력이 있다. 

토양의 산도에 따라 중성이면 흰색, 산성이면 청색, 알칼리성이면 분홍색이나 붉은빛으로 변하기 때문에 

다양한 색깔로 변화를 줄 수 있다. 건조하면 금세 말라버리기 때문에 목이 마르지 않도록 해줘야 오래도록 볼 수 있다.


◉ 수국꽃이 피지 않는 이유


1. 수국의 종류와 특징을 모르고 키울 때 – 가지자르기, 월동 조건, 개화 시기, 관리조건 등.


2. 전지 전정 시기가 맞지 않을 때 - 잎이 4개 정도 있어야 꽃대를 형성.


3. 갑작스러운 첫서리, 동해 피해 – 땅에 가까운 부분부터 동해 피해, 꽃샘추위, 첫서리 주의.


4. 너무 그늘지거나 너무 햇빛이 세거나 – 너무 그늘이 지면 꽃을 안 피움. 마이크로필라는 4시간~6시간 광량이 필요함.


5. 겨울에 너무 따뜻한 곳에 키울 경우 – 마이크로필라 수국은 영상 5도에 영상 10도 한 달 정도 찬 기운 맞아야 꽃을 잘 피움(저온처리는 꽃눈이 제대로 형성되도록 해줌).


6. 새로운 환경에서 쇼크를 받은 경우 – 이식 스트레스로 몸살, 배수가 잘되는 땅에서 안정적인 물 공급.

 

 
출처 : 아파트관리신문(http://www.aptn.co.kr)

Contact Us

이메일 문의 서비스 의뢰 인재채용